상품을 매입하여 정상판매 및 비정상상품은 손실처리가 된 상태에서 상품매입대금이 회수 되었을 경우 회계처리를 어떻게 하면 될까요???1. 상품 매입시 상품 100 / 보통예금 1002. 상품 정상판매 시 상품매출원가 100 / 상품 1003. 재고에없는 건이 나중에 비정상건으로 회수되었을 때 보통예금 100 / 상품매출원가 -100 ??
안녕하세요. 소상공인 정책자금 지원을 돕는 전문 컨설팅 업체 '정책자금연구소 바름' 입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 드리겠습니다"
A : 상품을 매입하고 판매 및 손실 처리 후 대금을 회수하는 회계 처리 방법에 대해 문의하셨군요. 질문해주신 내용을 바탕으로 각 단계별로 가장 일반적인 회계 처리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상품 매입 시 회계 처리
이 부분은 정확하게 기재해주셨습니다. 상품을 매입할 때는 자산인 '상품' 계정을 차변에, 현금이나 예금을 지급했으니 '보통예금' 계정을 대변에 기록합니다.
차변: 상품 100
대변: 보통예금 100
2. 상품 정상 판매 시 회계 처리
매출원가를 기록하는 방식은 질문자님의 분개가 맞지만, 정확히는 매출원가와 매출 수익을 동시에 인식해야 합니다. 상품의 판매 가격이 100원이라면, 상품 100원짜리를 100원에 팔았다는 가정하에 다음과 같이 분개합니다.
① 매출 발생 시점
차변: 보통예금(또는 외상매출금) 100 (매출 대금 수령)
대변: 상품매출 100 (수익 인식)
② 매출원가 인식 시점
차변: 상품매출원가 100 (비용 인식)
대변: 상품 100 (재고 자산 감소)
3. 비정상 상품의 손실 및 회수 시 회계 처리
재고에 없던 비정상 상품을 나중에 회수하고 그 대금을 받았을 때의 회계 처리는 복잡하게 생각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상품의 손실은 이미 발생했다고 가정하고, 나중에 대금을 받은 것을 그대로 인식하면 됩니다.
① 비정상 상품 손실 처리 (재고가 없어진 시점) 비정상적인 이유(파손, 도난 등)로 재고가 없어졌을 때는 '재고감모손실' 계정을 사용합니다.
차변: 재고감모손실 100 (비용 처리)
대변: 상품 100 (자산 감소)
② 비정상 상품 매입 대금 회수 시점 이미 손실 처리된 상품의 대금을 나중에 받았을 때는 '상품매출원가 -100'처럼 마이너스 비용으로 처리하지 않고, **잡이익(영업 외 수익)**으로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차변: 보통예금 100 (대금 회수)
대변: 잡이익 100 (수익 인식)
이렇게 처리하면 상품의 입고, 정상적인 판매, 비정상 손실, 그리고 최종적인 대금 회수까지의 과정이 명확하게 회계 장부에 기록됩니다.
"마지막으로 드리는 말씀"
2025년 정책자금예산은 30조이지만, 많은 대표님들이 몰라서 못받고 계십니다. 정책자금 컨설팅 및 진단이 필요하시다면 프로필 혹은 네이버에 정책자금연구소 바름이라고 검색해주세요. 최저 2% 최대 100억까지 가능한 정책자금, 대표님들에게 맞는 최적화 자금을 찾아 처음부터 끝까지 도와드리겠습니다.
* 채택으로 인해 발생하는 해피빈 콩은 모두 이웃을 위해 기부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참아야지! 참아라! 그러면 잘 되어 갈 걸세. 친구여, 정말 자네 말이 맞네. 세상 사람들 틈에 끼여 날마다 일에 쫓기며, 다른 사람들이 하는 일과 그들의 행동을 보기 시작한 이후로 나는 나 지신과 휠씬 더 잘 타협할 수 있게 되었네.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 괴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