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이나 부동산은 이미 진입시기가 늦은것 같고, 다른 자산도 막상 공부해보면 어렵더라고요.최근 주변을 보면 해외선물투자로 노후준비 자금 마련에 활용하시는 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노후준비 하는데 실제로 도움이되는지, 또 초보자라면 어떻게 시작해야 안전할지 궁금합니다.
노후준비를 해외선물로 고려하시는 건 신중하게 접근하셔야 할 중요한 결정입니다.
1.해외선물을 활용하는 경우
노후준비는 은퇴자산 외에 여유자금 일부로 소규모 운영
철저한 리스크 관리 기반 하에 단기 수익 보조수단으로 활용
일정 수준 이상의 기초 교육과 실전 경험을 선행한 후 가능
2.초보자가 안전하게 접근하는 방법
① 모의투자부터 시작
증권사 HTS나 MTS에서 모의계좌로 실전처럼 매매해보며 감각 익히기
수익률보다 손실을 피하는 전략 중심으로 연습
② 기초 용어 및 상품 구조 공부
선물의 구조, 증거금, 레버리지, 슬리피지, 강제청산 등 기초부터 탄탄히 이해
주로 거래되는 지수 (나스닥, 항셍, S&P500), 원자재 (오일, 금) 특징 익히기
③ 리스크 관리 원칙 반드시 설정
한 번의 손실이 전체 자산을 위협하지 않도록 일일 손실 한도와 최대 보유 포지션 수량 명확히 설정
스탑로스는 무조건 설정하고 진입
④ 장기자산과 분리해서 운영
국민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 등 안정적 노후자산과 별도로 분리
해외선물은 ‘위험을 감당할 수 있는 돈’으로만 진행
3. 노후준비에 더 적합한 대안
TDF(Target Date Fund): 은퇴 시점에 맞춰 자동으로 자산 비중 조절
ETF: 배당 ETF나 인컴 중심의 채권 ETF 등 비교적 안정적인 상품
REITs: 간접적인 부동산 수익 확보 수단
ISA, 연금저축 등 세제혜택 활용한 계좌로 장기투자
.
참아야지! 참아라! 그러면 잘 되어 갈 걸세. 친구여, 정말 자네 말이 맞네. 세상 사람들 틈에 끼여 날마다 일에 쫓기며, 다른 사람들이 하는 일과 그들의 행동을 보기 시작한 이후로 나는 나 지신과 휠씬 더 잘 타협할 수 있게 되었네.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 괴테